A/S팀이 말해주는 셀프 수리
배터리 충전기 충전이 되지 않을 때 점검 사항과 점검 방법
배터리 충전기는 주로 자동차 배터리를 충전하는 데 사용되는 공구다. 여러 가지 브랜드의 충전기가 있지만 점검 사항과 그 방법은 비슷하다. 하림전기에서 출시한 30A 기계식 배터리 충전기를 기준으로 알아보자.
![](/upload/webimage/202111/20211105YPKCP9PFDF.png)
설명드릴 기계식 배터리 충전기의 대표적인 문제 증상은 충전이 되지 않는 것입니다. 충전이 되지 않을 때 점검이 필요한 사항들과 점검 방법에 대해 하나씩 순서대로 설명드리도록 하겠습니다.
![](/upload/webimage/202111/20211105K2WDQAUEPH.png)
김성관
크레텍 웰딩 A/S팀
배터리 충전기가 충전이 안 돼요 뭐가 문제인가요?
A-1
가장 먼저 확인해야 할 부분은 퓨즈입니다.
![](/upload/webimage/202111/20211105DW67SFBXYJ.png)
배터리 충전기의 후면 상단을 보시면 퓨즈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퓨즈를 돌려서 빼, 퓨즈 내부의 선을 확인합니다.
![](/upload/webimage/202111/20211105CJ29HGBZMP.png)
적정 용량보다 초과한 전류가 흐르는 경우 퓨즈의 내부선이 끊어지게 됩니다. 퓨즈 내부의 선 확인 시 끊어져 있는 경우에는 교체가 필요합니다.
A-2
다음으로 충전기 내부 배선의 접촉불량을 확인합니다.
![](/upload/webimage/202111/20211105PEJBFUUAUY.png)
![](/upload/webimage/202111/20211105AU8C9U7JQ5.png)
충전기 몸체의 볼트를 제거하여 커버를 열고 내부의 각종 배선 터미널 혹은 결속단자를 확인합니다.
![](/upload/webimage/202111/20211105NJJSH4XVHE.png)
배선이나 결속단자의 결속부위를 하나씩 당겨 보아, 빠져 있거나 헐거워져 있는지를 확인합니다.
또 납땜 불량은 없는지 확인합니다.
A-3
다음으로 메인트랜스의 소손 여부를 확인합니다.
![](/upload/webimage/202111/20211105VD6VKF2WMF.png)
이 부분이 바로 메인트랜스입니다. 메인트랜스는 충전기 전원을 콘센트에 꽂았을 때 입력되는 220V의 전압을 배터리 충전을 위한 출력 전압인 12V나 24V로 떨어뜨리는 기능을 하는 장치입니다.
육안으로 확인하였을 때 메인트랜스의 코일 부분에 변색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합니다. 왼쪽 사진처럼 변색이 없는 경우에는 정상, 오른쪽 사진처럼 변색이 확인되는 경우에는 소손된 것입니다. 심하게 변색되었거나 절연지가 탔을 경우 메인트랜스를 교체해야 합니다.
![](/upload/webimage/202111/202111056NS5DGBJQL.png)
변색이 없는 코일
![](/upload/webimage/202111/20211105FNTS63RGAK.png)
변색이 확인되는 코일
A-4
브릿지 다이오드를 확인합니다.
![](/upload/webimage/202111/20211105NTMMLHFRNK.png)
먼저 아날로그 테스터기의 설정을 저항×1에 설정한 후, 플러스 마이너스 리드선을 서로 접촉하여 저항값의 영점을 맞추고 B/D에 연결된 선을 다 뺀 상태에서 작업을 진행합니다.
![](/upload/webimage/202111/20211105AGGLKCYW3P.png)
B/D의 결속단 위치는 위 그림과 같습니다. B/D점검을 위해 아날로그 테스터기를 사용하는 방법과 디지털 테스터기를 사용하는 방법이 서로 다른데, 여기서는 아날로그 테스터기를 사용해 점검하는 방법을 설명하겠습니다.
![](/upload/webimage/202111/202111054GRKEUF9UP.png)
이 부분이 바로 브릿지 다이오드(B/D)입니다. B/D는 입력되는 교류 전압을 직류 전압으로 교환해 주는 부품입니다.
![](/upload/webimage/202111/202111056LY7ZMZJBL.png)
① 리드선(+)를 B/D(+)에 접촉하고 리드선(-)를 B/D교류입력단에 접촉하여 테스터기에 약 5~10Ω가 표시되면 정상입니다.
![](/upload/webimage/202111/20211105EQW9D9RGD2.png)
② 리드선(-)를 B/D(-)에 접촉, 리드선(+)를 B/D교류입력단에 접촉하여 테스터기에 약 5~10Ω가 표시되면 정상입니다.
![](/upload/webimage/202111/20211105A9A4B77QGB.png)
③ 리드선(-)를 B/D(+)에 접촉, 리드선(+)를 B/D교류입력단에 접촉하여 ∞Ω가 표시되면 정상입니다.
![](/upload/webimage/202111/20211105K5SZEWWGFF.png)
④ 리드선(+)를 B/D(-)에 접촉, 리드선(-)를 B/D교류입력단에 접촉하여 ∞Ω가 표시되면 정상입니다.
앞의 항목 네 가지 항목 중 한 가지라도 통과하지 못하는 경우에는 B/D파손이므로 교체가 필요합니다.
![](/upload/webimage/202111/202111056QTSEZ7YEV.png)
B/D교체시, 교류입력단에 연결하는 전선은 바뀌어도 상관없으나 직류입력단에는 플러스(+),
마이너스(-) 선을 유의하여 교체가 필요합니다.
A-5
셀렉터, 스위치 등을 확인합니다.
![](/upload/webimage/202111/20211105MD6H4RYJN4.png)
각종 셀렉터나 스위치 등의 부품에 연결된 전선이 빠져 있거나 헐렁하지 않은지 육안으로 확인하거나 혹은 통전테스트를 하여 확인이 필요합니다. 통전하는 경우 테스터기에 0Ω이 표시된다.
A-6
충전기 전면의 전류계를 확인합니다.
![](/upload/webimage/202111/20211105FH7SNTH5B7.png)
위 사진이 전류계 부분입니다.
![](/upload/webimage/202111/202111052BH936GV2R.png)
![](/upload/webimage/202111/20211105TZW3KU8XUD.png)
전류게 뒤편의 터미널 결속부에 테스터기의 리드선을 접촉하여 통전테스트를 진행합니다. 통전시, 테스트기의 바늘이 0Ω을 가리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upload/webimage/202111/2021110599B8GYGWBW.png)
통전이 확인될 시, 전류게 전면부에 자석을 가까이 갖다 대어 바늘이 움직이는지 확인한다. 움직이면 정상입니다.
A-7
출력집게선의 이상 유무를 확인합니다.
![](/upload/webimage/202111/2021110559FD9T33BU.png)
![](/upload/webimage/202111/20211105YGFXS47KR3.png)
출력집게선의 고무커버를 밀어 올려 출력집게선에 단선이 없는지, 출력선과 집게의 결속상태(납땜)가 양호한지, 집게의 악력이 너무 약하지는 않은지 확인합니다.
A-8
배터리 결속부위를 확인합니다.
![](/upload/webimage/202111/202111057PHGXFPDGS.png)
![](/upload/webimage/202111/20211105MWYW35B5JT.png)
배터리의 결속부에 이물질이 묻어있거나 부식되어 있는지 확인합니다. 만약 이물질이 묻어있거나 부식되어 있는 경우, 전류가 흐르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런 경우 배터리 결속부에 집게를 물린 상태에서 좌우로 1~2회 정도 흔들어 결속을 진행합니다.
A-9
위의 8가지 점검 과정과 수리, 부품 교체가 모두 끝났다면 최중 출력 전압을 확인합니다.
![](/upload/webimage/202111/20211105QQHGKQMZMG.png)
![](/upload/webimage/202111/20211105ATCMFV38WT.png)
배터리와 충전기가 연결되지 않은 상태에서 충전기의 전원을 꽂은 뒤 테스터기를 DC50V에 맞추고 충전기 출력단자에 리드선을 접촉하여 전압을 측정합니다. 이 때, 충전기에서 나오는 전압은 완벽한 직류(DC) 전압이 아니라 맥동파의 형태로 출력되므로 조금 낮은 수치의 전압이 표시됩니다.
![](/upload/webimage/202111/20211105B68ZNN8582.png)
![](/upload/webimage/202111/202111053V4T28S4SZ.png)
① 충전기의 출력 전압을 12V로 설정한 경우 테스터기에 9~10V정도가 뜨면 정상입니다.
![](/upload/webimage/202111/20211105XS2DHXQUQA.png)
![](/upload/webimage/202111/202111057FE989LBVR.png)
② 충전기의 출력 전압을 24V로 설정한 경우 테스터기에 18~20V 정도가 뜨면 정상.
![](/upload/webimage/202111/20211105CNNSPY5ZBY.png)
![](/upload/webimage/202111/20211105QH3VKNW9XD.png)
전원을 끄고 출력집게선을 배터리에 연결 후, 충전을 시작하여 충전기의 전류계가 움직이는지 확인합니다. 전류계 바늘이 움직이고 시간이 지남에 따라 바늘이 조금씩 ‘0’으로 떨어지는 것이 확인되면 정상입니다.
Tip.
A/S팀에서 알려주는
충전기 사용 시 주의할 점
① 배터리 상태를 확인한다. 수명이 다 된 배터리에 충전기를 연결하는 경우 과부하로 인해
트랜스가 소손될 수 있다.
② 배터리의 용량을 확인한다. 15A급 충전기는 12V기준 80A까지 사용이 가능하다.
30A급 충전기는 12V 기준 100~150A까지 사용이 가능하다. 배터리가 감당할 수 있는 용량 이상의 과도한 용량을 사용하는 경우 과부하로 인해 트랜스가 소손될 수 있다.
③ 배터리와 충전기 연결 시 플러스(+) 마이너스(-)를 반대로 연결하면 역결선에 주의한다.
극성을 반대로 연결하면 B/D가 파손되고 최악의 경우 트랜스도 소손될 수 있다.
④ 충전기가 켜진 상태에서 출력집게선을 쇼트(접촉)시키면 안 된다. 이 경우 B/D가 파손되므로
반드시 출력집게선을 배터리에 연결 후 전원을 투입하는 습관을 들이도록 하자.
도움말 _ 크레텍 웰딩 A/S팀 김성관 책임 / 정리·사진 _ 이대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