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IFE & CULTURE
[건강] 봄의 불청객 알레르기성 비염 & 결막염
포근한 기운의 봄이 왔지만 찾아오는 봄이 불쾌한 사람이 있다. 요즘처럼 봄바람에 황사 먼지와 꽃가루가 날릴 때면 수시로 재채기를 해대는 사람들이다. 이러한 증상은 계절성 알레르기 비염이라 하는데, 초기에는 감기와 비슷한 증상을 보이다 갑자기 코 안이 가려워지면서 재채기를 지속적으로 하게 되고, 콧물로 코가 막혀 입으로 숨을 쉬어야 하는 경우도 있다. 또한 동일한 원인으로 발생하는 알레르기성 결막염은 가려움, 눈물, 끈적거리는 눈곱, 충혈 등의 증상을 동반하게 된다. 봄의 불청객 알레르기성 비염과 알레르기성 결막염을 알아보자.
봄의 불청객
알레르기성 비염 & 결막염
감기가 아닌데 콧물이 나고 재채기가 난다?
알레르기성 비염은 알레르기 질환 중 가장 흔한 질환으로 주로 꽃가루나 먼지, 기후 조건 등이 원인이 되어 봄에 많이 발생한다. 이처럼 알레르기성 비염은 특정 계절에 민감한 반응을 보이기도 하지만 공기 중의 미세한 먼지나 오염물질에 의해서도 발생한다. 이러한 이유로 최근에는 계절에 상관없이 나타나 많은 사람들을 괴롭히고 있다. 이런 알레르기성 비염은 천식이 동반되며 숨 쉴 때 가슴에서 소리가 나거나 호흡곤란의 증상이 나타나기도 한다. 알레르기성 비염은 재채기, 묽은 콧물, 심한 코막힘 증상이 나타나며, 이 외에도 눈이나 목구멍 등이 가렵고 눈이 충혈된다. 증상이 심한 경우에는 두통이나 얼굴에 통증을 느끼기도 한다. 제대로 된 치료를 하지 않고 방치하게 되면 축농증, 중이염, 만성 기침 등의 합병증이 나타날 수 있어 주의해야 한다.
봄철 알레르기 비염 예방법
알레르기성 비염은 치료책이 없어 예방책이 상책이다. 알레르기성 비염을 예방 하기 위해서는 원인 물질을 제거해야 한다. 알레르기성 비염의 가장 큰 원인은 집먼지진드기다. 집먼지진드기는 침실의 매트리스, 베개, 이불 등에 달라붙어 살아가는데 그 안쪽에 집먼지진드기가 서식하지 않게 하는 것이 좋다. 그 다음에 진공청소기로 일주일에 한 번 정도 구석구석 청소하는 것이 필요하고, 동물의 털이 소재인 베개는 사용하지 않는 것이 좋다. 봄철이면 피할 수 없는 꽃가루는 외부에서 문제가 되기보다 이 꽃가루를 집안으로 가져와서 증상이 나타나기 때문에 외부에서 집안으로 꽃가루를 가지고 들어오지 않는 것이 중요하다. 꽃가루가 날리는 시기의 외출은 피하고 꽃가루가 많은 장소는 피하는 것이 좋다. 외출 후에는 외부에서 묻어 온 꽃가루가 집에 들어오지 못하게 집 밖에서 완전히 털고 들어오고 외출 후에는 바로 세수를 하자.
꽃가루가 눈으로 날아들면 안약이 해결책
봄은 꽃가루가 많아지는 시기로 꽃가루에 의한 알레르기성 결막염의 발생이 빈번하다. 알레르기성 결막염의 특징적인 증상은 갑작스럽게 발생하는 매우 심한 가려움증, 작열감, 유루(눈물 흘림) 등이 있으며 더러 눈꺼풀이나 결막이 붓는 현상을 보이게 된다. 알레르기성 결막염 치료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원인이 되는 항원을 피하는 것이다. 그러나 현실적으로 눈을 항원으로부터 격리하기란 매우 어렵다. 따라서 냉찜질이나 항히스타민안약, 혈관수축안약 혹은 스테로이드점안약 등 적절한 안약의 사용으로 증상을 해소시키는 치료가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