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PECIAL
[ISSUE] 수공구의 충전공구화
리튬이온 배터리의 등장과 BLDC 개발 등 모터의 소형화에 따라 과거에는 수공구로만 생각되던
각종 공구들이 지금은 상당수 충전공구화 되어가고 있다. 그 흐름에 올라탄 공구들을 살펴보자.

수공구는 단순하고 직관적인 구조 덕분에 전기나 배터리 없이도 안정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필연적으로 사람의 근력을 필요로 하며, 반복 작업이나 고강도 작업에서는 피로 누적과 작업 효율 저하가 뒤따른다는 단점 역시 존재한다. 따라서 수공구는 과거부터 오랜 시간동안 전동화의 필요성이 이야기되어 왔으나 기술적 제약이 이를 가로막았다.
전동공구 등장 초기에는 크고 무거운 모터가 수공구의 전동화를 어렵게 했으며 충전식 전동공구가 등장한 뒤에도 한정된 배터리 용량에 따른 작업시간 제한, 그리고 긴 충전시간동안 사용 불가 등의 이유로 인해 전동공구화를 제한했다. 하지만 최근 리튬이온 배터리의 혁신과 BLDC모터의 소형화·고효율화가 이런 한계를 무너뜨렸다. 이제 전통적인 수공구의 상당수가 충전식 전동공구로 변모하고 있으며 공구산업 전반에도 배터리화의 물결이 흘러들고 있는 중이다.
리튬이온 배터리는 과거 사용하던 니켈카드뮴 배터리나 니켈수소 배터리 대비 에너지 밀도가 높고 무게가 가볍다. 또한 메모리 효과가 없어 충·방전을 반복해도 용량 저하가 적고, 고속 충전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최근에는 고출력 셀 기술과 배터리 관리 시스템(BMS)의 발전으로 소형 공구에도 안정적인 전력 공급이 가능해졌다. 뿐만 아니라 BLDC 모터는 효율이 높고 발열이 적어 장시간 작업에 유리하다. 기존의 AC 유도 모터나 브러시 모터 대비 동일 출력에서 부피와 무게가 훨씬 작아졌다.
이러한 기술 개발 덕분에 전동화가 어려웠던 휴대형 수공구도 충분한 토크와 회전수 제공이 가능해졌고 가벼운 무게로 전동화 및 배터리화가 가능해진 것이다.
① 대패
이제는 대패질도 힘을 쓸 필요 없이 전동으로 손쉽게 가능하다. 깎는 깊이 조절도 손쉽게 할 수 있으며 뿐만 아니라 집진기(진공청소기) 연결구가 장착된 모델도 있어 쉽고 깔끔한 대패질 역시 가능하다.

② 흡착기
공기 압축을 이용해 유리나 석재 등을 운반하는 수공구인 흡착기 역시 전동화되었다. 모터 흡입 연속작동시에는 울퉁불퉁한 면에도 흡착이 가능하다. 일반 수공구 흡착기보다 사용이 편하다는 의견도 있다.

③ 실리콘 건
충전식 실리콘건의 가장 큰 특징은 사람의 노력 없이도 실리콘 배출량(속도)을 일정하게 조절 가능하다는 것이다. 이것만으로도 깔끔한 실리콘 접착이 쉬워진다. 시중의 실리콘 카트리지 장착이 가능하다.

④ 인두기
납땜을 하는 인두기도 충전식 공구가 등장했다. 배터리 충전으로 전원 연결이 불가능한 곳에서도 작업이 가능하다.

⑤ 리베터기
기존에는 수공구 또는 유압공구로 제작되던 리베터기. 배터리로 구동되며 일반적인 전동공구들처럼 트리거 스위치를 이용해 한 손으로 손쉽게 작동 가능하다. 작업 속도 역시 수공구보다 향상되었다.

⑥ 타카/네일러
목재나 합판 고정 시 더 적은 힘으로 다량의 스테이플러나 타카핀을 신속히 박을 수 있다. 작업등이 장착된 모델도 있어 어두운 환경에서도 원활한 사용이 가능하다. 콘크리트에 사용 가능한 모델도 있다.

수공구의 충전공구화는 단순히 편리함을 넘어 산업 현장의 모습에도 변화를 주었다. 작업 효율이 높아져 작업의 속도가 빨라지고 작업품질의 편차가 줄어들었다. 또한 수공구 사용 시 피로 누적이나 과도한 힘 사용으로 인한 부상 위험이 감소하고 배터리 사용으로 전원이 불필요해 작업 반경 역시 넓어졌다. 이러한 변화는 제조, 건설, 배관작업, 목공 등 거의 모든 분야에서의 생산성 향상을 불러오고 있다.
또한 DIY시장의 성장과도 맞물려 있다. 과거에는 전문가들의 전유물이었던 공구가 소형화·경량화되어 가정용으로도 쉽게 접근 가능하지면서 배터리화된 수공구의 판매도 증가하는 추세다. 또한 무선이라는 특성은 야외·오지 작업이나 긴급 복구 현장에서도 장점을 제공한다.
리튬이온 배터리와 모터 소형화는 공구시장의 모습을 바꿔 가는 중이다. 앞으로 계속될 기술 개발로 배터리 밀도 향상, 초고속 충전, AI기반 공구 제어 기술이 결합해 더 많은 종류의 수공구가 배터리화 되어 갈 전망이다. 이는 단순한 기술 변화가 아니라 공구를 사용하는 모든 현장에 작지만 혁신적인 변화를 가져올 하나의 물결이다.
글 _ 이대훈 / 자료참고 _ 각 브랜드 홈페이지